이펙트아카데미 특강/외주/커뮤니티
언리얼5 - 동적 SubUV 데칼(Decal) 제작하기
도시 도로를 편집할 때, 종종 횡단보도, 교통 표지판, 주차선 등 노면 요소를 그려야 합니다. 동적으로 수정 가능한 데칼(Decal, 투사된 스티커 효과)을 사용할 수 있다면 편집 효율성과 유연성이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다음은 제작 방법을 설명합니다.
1. 텍스처 준비
먼저 필요한 요소들이 포함된 텍스처를 준비합니다. 여기서는 숫자 전환만 테스트하기 위해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배열된 텍스처를 준비합니다. 각 요소의 크기는 1024 / 10입니다.
2. 머티리얼 설정
새 머티리얼(Material)을 생성하고, Material Domain을 Deferred Decal (지연 데칼)로, Blend Mode를 Translucent (반투명)으로 설정합니다.
3. 머티리얼 노드 연결
머티리얼 연결에는 주로 내장 노드인 SubUV_Function을 사용합니다.
Sub Images는 텍스처를 어떻게 서브(Sub) UV로 분할할지를 나타냅니다.
Frame은 현재 어느 서브 UV 영역에 위치할지를 나타냅니다.
Frames의 연결을 변수로 승격하고, 이름을 Index로 지정하여 이후 편집에 편리하도록 합니다.
4. 데칼 타입 블루프린트 생성
Decal 타입의 새 블루프린트를 생성합니다.
5. 블루프린트 설정
블루프린트의 Construction Script (생성 스크립트)에서 머티리얼 인스턴스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Index 매개변수를 수정합니다. 이 Index를 블루프린트의 Public 매개변수인 Number와 연결하고, 데칼의 머티리얼을 업데이트합니다.
6. 최종 배치 및 사용
최종적으로 이 블루프린트를 씬에 배치하고 **Public 변수(Number)**를 수정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에반 언리얼5 이펙트 그룹과정[12월 시작] : https://cafe.naver.com/unrealfx/20727
KUPAFX Stylized 유니티 이펙트 취업과정 : https://cafe.naver.com/unrealfx/21249
트리키 언리얼+후디니 활용 게임 VFX 연출과정 : https://cafe.naver.com/unrealfx/25629
max님의 쌩기초 메쉬활용 이펙트과정 1달특강 : https://cafe.naver.com/unrealfx/24469
eVan텍스쳐 단품과정 : https://cafe.naver.com/unrealfx/24468
rak 유니티 UI연출이펙트 : https://gamefx.co.kr/bbs/page.php?hid=Rak_int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