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펙트아카데미 특강/외주/커뮤니티
이 스크립트는 Houdini를 사용한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그리고 Unreal Engine으로의 내보내기 작업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자막 기록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모델링 및 세분화:
- Subdivide를 사용해 모델을 세밀하게 다듬고, Face 수를 조정하여 게임용 최적화(적은 Face) 또는 디테일한 렌더링(많은 Face)을 고려.
- Chamfer 작업을 위해 PolyBevel을 적용하고, Pscale 속성을 활용해 Chamfer 정도를 조정.
- Normal 문제를 수정하고, Edge와 Face 그룹을 선택해 세부 조정을 진행.
2 속성 및 그룹 관리:
- Blast와 Attribute Transfer를 사용해 그룹을 선택하고 속성(Cd, Pscale 등)을 관리.
- Inside 속성을 설정해 그룹을 분리하고, Color와 Seam의 Crack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ubdivide 모드를 조정.
- UV 투영을 통해 유리 재질에 적합한 균일한 UV를 생성.
3 애니메이션 설정:
- Center of Mass를 계산하고, Forward와 Up 방향 벡터를 설정해 회전 및 이동 애니메이션을 준비.
- Solver 노드를 사용해 시간에 따라 속성을 누적하고, Distance와 Ramp를 활용해 점진적인 확산 효과를 구현.
- 키프레임을 설정(0에서 72프레임까지)하여 Piece가 중심에서 외곽으로 퍼지는 애니메이션을 생성.
- Wild 속성을 추가해 각 Piece의 이동을 랜덤화하고, Point Index를 기준으로 다양성을 부여.
4 최적화 및 디버깅:
- Performance Monitor를 활용해 계산 속도를 확인하고, 멀티스레딩을 적용해 처리 속도를 개선하려 시도.
- 그러나 일부 환경에서는 멀티스레딩이 오히려 자원을 더 소모하거나 데이터 꼬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언급.
- 그룹 선택 오류, 속성 연결 문제, 노드 설정 오류 등을 실시간으로 디버깅하며 해결.
5 Unreal Engine 연동:
- 게임용 모델 최적화를 위해 Face 수를 줄이고, Blur와 Smooth를 적용해 엔진 내 부드러운 렌더링을 보장.
- 애니메이션과 속성을 Unreal Engine으로 가져갈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예: 강한 변화, 부정확한 UV)를 고려하며 작업.
이 과정은 Houdini의 노드 기반 워크플로우, 속성 관리, 애니메이션 설정, 그리고 게임 엔진과의 호환성을 다루며, 실시간 문제 해결과 최적화에 중점을 둡니다.
린반 25년 5월 오픈 초급과정 정보 : https://cafe.naver.com/unrealfx/22518
에반 언리얼5 이펙트 그룹과정[5월 시작] : https://cafe.naver.com/unrealfx/20727
KUPAFX Stylized 유니티 이펙트 취업과정 : https://cafe.naver.com/unrealfx/21249
트리키 언리얼+후디니 활용 게임 VFX 연출과정 : https://cafe.naver.com/unrealfx/25629
max님의 쌩기초 메쉬활용 이펙트과정 1달특강 : https://cafe.naver.com/unrealfx/24469
eVan텍스쳐 단품과정 : https://cafe.naver.com/unrealfx/24468
rak 유니티 UI연출이펙트 : https://gamefx.co.kr/bbs/page.php?hid=Rak_int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