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펙트아카데미 특강/외주/커뮤니티
이 영상은 언리얼 엔진의 나이아가라(Niagara) 시스템에서 **스폰 그룹(Spawn Group)**을 사용하여 단일 이미터 내에서 서로 다른 파티클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퀵 팁입니다.
핵심 설정 단계
1 스폰 속도(Spawn Rate) 정의:
나이아가라 이미터에 3개의 Spawn Rate 모듈을 추가하고 각각 Spawn Group 값 0, 1, 2를 지정하여 서로 다른 파티클을 생성할 그룹을 나눕니다.
2 스폰 그룹 값 읽기:
Particle Attribute(파티클 어트리뷰트) 모듈을 추가하고, 속성으로 **EmitterSpawnGroup**을 설정하여 각 파티클이 속한 스폰 그룹 번호를 읽어오도록 합니다.
3 렌더링 제어 (가시성):
3개의 Sprite Renderer(스프라이트 렌더러) 컴포넌트를 추가합니다.
각 렌더러의 Render Visibility(렌더 가시성) 속성을 해당 스폰 그룹 번호에 맞게 연결하여, 특정 스폰 그룹의 파티클만 특정 렌더러로 보이도록 제어합니다.
그룹별 속성 제어 예시
- 색상 제어: Mask Linear Color by Spawn Group(스폰 그룹별 선형 색상 마스크) 모듈을 사용하여 스폰 그룹별로 다른 색상을 할당하여 테스트합니다.
- 위치 제어: Mask Vector by Spawn Group(스폰 그룹별 벡터 마스크) 모듈을 Position(위치) 어트리뷰트에 추가하여 스폰 그룹별로 파티클의 위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개별 파티클 배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스폰 위치(Shape Location) 제어: Shape Location(모양 위치) 어트리뷰트를 활용하여 스폰 그룹별로 파티클이 생성되는 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단일 이미터 내에서 여러 종류의 파티클 효과를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에반 언리얼5 이펙트 그룹과정[12월 시작] : https://cafe.naver.com/unrealfx/20727
KUPAFX Stylized 유니티 이펙트 취업과정 : https://cafe.naver.com/unrealfx/21249
트리키 언리얼+후디니 활용 게임 VFX 연출과정 : https://cafe.naver.com/unrealfx/25629
max님의 쌩기초 메쉬활용 이펙트과정 1달특강 : https://cafe.naver.com/unrealfx/24469
eVan텍스쳐 단품과정 : https://cafe.naver.com/unrealfx/24468
rak 유니티 UI연출이펙트 : https://gamefx.co.kr/bbs/page.php?hid=Rak_intro